테리 조지 감독의 영화 <호텔 르완다>는 1994년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벌어져 100만 명 이상이 희생된 투치족과 후투족 사이의 대규모 내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내전’이라는 말이 부족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규모의 살육전은 르완다를 넘어 부룬디까지 번졌다.
두 부족 이외에도 아프리카 곳곳에는 부족 간 내전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미 종결된 내전이라도 아직까지 그 후유증을 안고 있다. 그들은 본래 철천지 원수였으며, 유럽의 식민지배로부터 해방된 뒤에 자원을 놓고 자기 부족만의 이익을 챙기느라 벌어진 어리석은 일이라고 치부되기도 하는 그들의 반목. 진짜 이유는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사람마다 사회마다 각기 다른 ‘우리’와 ‘너희’를 구분하는 경계가 있다. 한국인(한국 언론)의 경우 주로 ‘민족’을 그 기준으로 삼는다. 단일민족을 운운하다가 민족주의의 폐단을 이야기하는 한편, 아버지나 어머니도 아닌 외할아버지가 한국인인 어느 유명인사를 ‘자랑스러운 한국계 OO인’이라고 소개한다.
같은 시간, 또 다른 공간에는 오랜 동안 ‘부족 혹은 씨족’을 기준으로 살아온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땅, 아프리카에 식민 사업을 진행한 유럽인들은 원주민들의 기준을 무시한 채 여러 부족을 한 국경 안에 몰아넣었다. 그리고 지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부족을 자신들의 끄나풀로 삼아 다른 부족을 억압하고 관리하게 하였다. 이 때부터 부족 간에는 힘의 부등호에 따른 자연스러운 충돌과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넘어선 비정상적인 갈등이 시작되었다.
그 가운데 투치족과 후투족이 있다. 당신은 르완다 내전이나 부룬디 내전 등으로 이들의 이름을 들어보았을지 모른다. 서방에서 만들어진 미디어나 자료는 두 부족에 대해 흔히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투치족은 본디 체격이 크고 호전적인 사람들이라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온순한 후투족을 지배해왔으며 두 부족은 서로 원수지간 이었다고 말이다.
후투족에 비해 월등한 신식 무기를 이용했다든지 정비된 군대를 가지고 있었다든지 하는 사료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단지 ‘상대적으로’ 호전적인 성향의 소수 부족이 ‘온순하다고 추정되는’ 다수 부족을 지배했을지 쉽게 결론 내리기는 어렵다. 한 발 양보해서 두 부족간에 실제로 명확한 지배-피지배 관계가 있었다 한들, 유럽이 그들에 대해 기록을 하기 이전에 그들의 관계는 알 길이 없다. 그들의 관계가 그저 다른 부족 간의 자연스러운 충돌과 경쟁 정도였으며 최소한의 생존 조건을 유지하고 번식하기 위한 전투가 있었을 뿐이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르완다 내전과 같이 어마어마한 사상자를 낳고도 해결되지 못한 투치족과 후투족의 분쟁에 대해 서방의 분석은 오로지 ‘그들은 원래 갈등 관계였다’ 이다.
실상 아프리카 부족간에 살벌한 반목이 일어난 원인과 증거를 찾을 수 있는 시기는 유럽이 아프리카를 지배하면서부터이다. 1923년 벨기에는 유럽인의 편의대로 그은 ‘틀’을 기준으로 투치족과 후투족을 한 데 뭉뚱그려 르완다-우룬디를 통치한다. 벨기에 관리들은 지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수의 투치족을 끄나풀로 삼았다가, 2차 대전 이후 투치족이 독립을 요구하자 이번에는 후투족과 연맹한다. 1962년 르완다-우룬디에서 르완다가 분리되고 부룬디가 독립할 당시 르완다 지역의 투치족은 별도의 격리구역(대외적 명칭은 ‘보호구역’)으로 내몰렸다. 침략자인 유럽의 선택에 의해 두 부족은 억압과 특혜를 번갈아 받게 되었고, 서로간의 갈등은 심화되었다.
투치족의 선택도, 후투족의 선택도 아니었던 ‘국경’ 안에서, 역시 둘 중 어느 쪽도 원하지 않았던 ‘국가 단위 경제 체제’와 ‘시장경제’에 맞춰 살아가고 있는 두 부족은 갈등을 해소하기 쉽지 않았고, 르완다 내전과 부룬디 내전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다.
누군가는 말할 것이다. 내전이란 것은 그 역사적 이유야 무엇이든 아프리카 사람들이 ‘크게 볼 줄 모르고’ 자기 부족밖에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나아가 이러한 저질 근성 때문에 먼 과거에는 그들이 노예가 되었고 가까운 과거에는 그들의 땅이 식민지가 된 것이라고.
우리는 알아야 한다. 중앙집권적 국가라는 제도가 필요하지 않았고(따라서 미비했고) 생존을 위한 전투는 있었더라도 대규모의 전쟁은 없었던 그들에게는, 정비된 군대와 신식 무기로 무장한 유럽인들에게 대항할 힘이 없었다는 것을. 그것이 침략을 받게 된 주된 이유라는 것을. 그들은 오랜 세월 식민을 경험했고 유럽의 시장경제가 탐내는 자원은 풍부하나 식량은 부족한 상황에서 절박하게 살아왔다. 그들에게 최소한의 안전이 보장된 삶을 살아온 이들이나 세련된 인문학 교육을 받은 이들만큼의 선택의 폭과 사유의 깊이, 교양과 배려심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내전을 그들의 근성 때문에 벌어진 문제로 본다면 내전의 후유증 또는 진행으로 고통 받는 이들은 지구촌의 갖가지 풍경과 정황 중 하나로 스쳐갈 것이다. 내전을 역사가 만든 비극으로 본다면, 우리는 그들이 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상황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믿을 수 있다. 변화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들이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과정을 돕는 움직임도 선택할 수 있다.
내전의 폐허에서 고통 받는 그들에 대한 당신의 시선, 그 선택은 어느 쪽인가?
'그들이 티비에서 이 학살장면을 본다면 경악을 하고 불쌍하다 말할 거에요. 그리고 다시 저녁을 먹겠죠.'
'우리를 구해줄 사람도, 우리를 위해 나서 줄 사람도 없습니다. 우리를 도울 것은 우리 자신 밖에 없습니다.'
- 영화 호텔르완다 대사 중
Kim, kyunghwa
khashi@uhic.org
'Let's 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s Ue] 네번째 동영상 Believe (0) | 2013.12.19 |
---|---|
[월간Ue 다시읽기] 에이즈 : 치료할 수 있는 병, 아프리카의 고통을 치료하기 위하여 (0) | 2013.11.20 |
[월간Ue 다시읽기] 기부와 원조 (0) | 2013.09.30 |
[Let's Ue] 세번째 동영상 12 Angry Men (0) | 2013.07.19 |
우린 함께 도리나무(Dori Tree)를 읽어요!! (0) | 201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