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인류문명 발전의 기초였던 농업, 역사적으로 많은 국가들은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해왔습니다농업을 통한 부의 축적은 한 나라의 산업이 공업화 되는 것에 기여했고, 식량 작물의 재배는 사람들이 끼니를 이어갈 수 있게 하고, 판매를 통한 소득 창출의 수단으로 역할 하기도 해 빈곤 감소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주요국 총 인구 중 농업 종사 인구 비율)


  현재 아프리카의 농업은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기반국가가 많고 농업 인구는 국민 경제의 약 70%를 차지할 만큼 높은 고용 비중을 자랑합니다. 국제아동돕기연합이 활동하는 탄자니아 역시 작물재배가 GDP에 기여하는 정도가 25% 정도이며 탄자니아의 농업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 비중에서 1위인 광업 다음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예로부터 아프리카는 풍부한 토지자원에도 불구하고 기후적 조건으로 인해 남북으로 농작물이 퍼지기가 어려운 대륙이었습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식민지 시절, 통치 국가들은 식량 작물이 아닌 커피, 코코아 등과 같은 수출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여 독립 이후에도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수출 작물 재배를 계속하고, 낮은 생산성과 더불어 당장 식량이 필요한 자국민들이 소비할 수 있는 것이 적은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현재 20대 식량 부족 국가 중 19개국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 집중분포 되어 있어 지구상에서 발전이 더디고 영양실조 인구가 높은 대륙이 바로 아프리카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들 국가는 농산물을 길러내기 위한 조건이 부적합한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품종 부족이나 농업 용수 공급을 위한 관개, 수리 시설, 농기계 등 도구의 부족, 수확 이후 농작물, 과채류 등에 대한 적합한 보관 시설의 부재는 병해충과 동물 등에 의해 농작물의 손실을 초래하고, 도로를 비롯한 사회간접시설이 아직 확충되어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지역 간의 이동이 어려워 힘겹게 생산한 농산물의 유통 역시 쉽지 않습니다. 통신, 전기 등의 인프라 역시 시장 가격 등에 대한 정보력 부족을 야기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한편으로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향상되는 기술에도 불구하고 토양, 물 등 생산 기반의 약화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지구환경의 문제로 인해 식량을 확보할 수 없는 국가에게 식량이 무기화될 수 있는 '식량 안보' 개념이 나타날 정도로 세계 식량 생산, 공급에 대해 불확실성을 가질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Oxfam

 

  국제사회가 합의한 SDGs의 두번째 목표에서는 기아해소와 식량안보, 지속 가능한 농업발전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농산물을 보다 건강하게 자라도록 돕기 위한 비료와 농약, 농기계 보급, 농업용수 보급은 농업 생산성 개선을 위해 필요하며, 수확 작물에 대한 농민들의 인식 개선과 더불어 운송, 포장 등의 요소에 대한 보완으로 농업 가치사슬을 형성하고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급속한 인구증가율과 기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식품생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아프리카. 아프리카 연합은 농업개발 프로그램((The Comprehensive Africa Agriculture Development Programme, CAADP)을 통해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농업의 현대화를 꾀하며 국가 예산의 10% 이상을 농업부문에 투자해 연평균 6%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지역사회와 기업이 함께하는 가치창출사업(Created Shared Value, CSV)이나 생산자에게 보다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공정무역의 형태로 농업 발전이 진전되고 있으니 아프리카 국가들의 농업의 질적 발전이 기대됩니다.

 

 

 

 

* 참고자료

-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KOICA ODA 교육원

- 아프리카 농업 현대화 및 시사점, KOTRA

- 탄자니아 농업 개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세계 식량안보와 농업분야 기후변화 연구, 신용희

- KOICA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추진현황과 전략, 해외농업개발협회

  http://www.oads.or.kr/webzine/KOAA_1512/html/tme2.html

- 떠오르는 아프리카 농업 시장, news1

  http://news1.kr/articles/?2809961

  

+ Recent posts